본문 바로가기

Movies

[리뷰] 미씽: 사라진 여자

반응형




미씽: 사라진 여자




근래의 한국영화 중에 보기 드문 수작이다. 한국영화 특유의 아쉬움이 남지만 그 아쉬움이 서운하기보다 안타까움으로 남는다. 영화의 큰 주제는 인과응보다. 한매의 납치를 통해 지난날 자신이 했던 일이 어떻게 자신에게 되돌아오는지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모성애를 강조한 영화라고 보여질 수 있지만 영화 깊이 들어가보면 두 여성 모두 핍박받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지선은 양육권 소송중이었고 아이에게는 관심도 없는 아이 아빠 진혁에게서 양육권을 확실시 하려고 한다. 하지만 소송은 진혁보다 지선의 시어머니(진혁모)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결정권자 진혁은 자신의 엄마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그 과정에서 지선은 주변에 아이를 이용하는 사람으로 낙인찍힌다. 아이가 납치 됐어도 자신이 고용한 변호사 조차 믿어주지 않는 상황이 되자 지선은 스스로 전선에 뛰어들었다.







한매는 중국에서 시집온 사람이다. 한매의 남편 석호와 석호모는 한매를 돈을 주고 사와서 결혼시켰다. 그렇게 결혼당한 한매는 시어머니와 남편으로부터 아들을 낳는 기계로만 취급을 당한다. 한국어를 배워 도망 갈 수도 있고, 여자라 공부는 안할수록 좋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는 시어머니와 그에 동조하는 남편. 한매에게는 먼 이국땅으로 시집와 도망갈 곳조차 존재하지 않는 진퇴양난의 상황이다. 그녀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언어폭력이든 물리적폭력이든 매일같이 자행된다. 도움의 손길이 미치기는 하지만 미미하기만 하고 결국 얼마안가 그들도 쉽게 포기해버린다. 그러다가 한매는 자신이 보호해야 할 석호와 자신 사이에 딸아이(재인)가 생기면서 행복해지는 듯 보이나 행복도 잠시였고 한매에게 다시 또 폭력이 가해지고 그 폭력이 이제는 딸아이에게까지 미치기 시작한다. 여기서 대비되는 부분은 지선의 시어머니와 한매의 시어머니다.



한매의 시어머니는 한매가 딸을 낳았다고 자랑이 아니라며 딸인 재인이 아픈데도 나 몰라라 하고 큰 병원에도 데려가지 않는다. 단순히 재인이 딸이기 때문에 병원조차 데려가지 않는 한매의 시어머니는 과거의 시어머니의 대표적이기도 하지만 아직도 시골에서 자행되는 일이기도 하다. 대조적으로 지선의 시어머니는 자신의 손녀인 다은이를 끔찍히 사랑한다. 지선의 시어머니에게는 지선만 못된 사람으로 비춰진다. 한매의 시어머니에게는 한매와 한매가 낳은 딸 모두 나쁜 사람들이 된다.







지선의 시어머니는 아들을 최우선시 해서라기 보다 자신의 가족 또는 핏줄이 아니기 때문에 지선을 핍박하고 언어적 폭력도 서슴없이 한다. 현대에 와서는 남자와 여자의 이분법 보다는 가족과 핏줄이 중요시 되는 형태가 되었고 그로 인해 자신의 가족 틀 안에 들어온 지선은 지선의 시어머니가 보기에 이방인이다. 지선과 한매는 멀리서보면 대비되는 상황에 놓인 것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보면 둘은 비슷한 처지에 놓인 공통분모다.



한매의 시어머니는 자신의 손녀가 열이 펄펄 끓어 아픈 상황에서도 병원에서 조차 큰 병원으로 가봐야 한다는 말도 무시하고 그대로 손녀 재인을 한매에게 빼앗아 집으로 돌아간다. 한매가 아무리 애원해도 한매의 시어머니와 한매의 남편 석호는 한매에게 다시 또 한 번 언어적 폭력과 물리적 폭력을 행사할 뿐이다. 한매의 시어머니에게 한매는 자신의 가족이 아니다. 아들 석호가 집에 돌아오지 않는 것을 한매의 탓으로 돌리며, 집안에 여자 하나 잘못들이니 이 사단이 났다고 울분을 토하기도 한다.



지선의 시어머니도 이렇게 된 상황을 지선의 탓으로 돌린다. 하지만 한매의 시어머니(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변질되었다. 현대로 왔다고 해서 그 방법만 변했을 뿐 계속해서 폭력은 자행되었다. 지선의 시어머니는 지선이 내 아들의 돈을 보고 결혼했고, 내 아들에게서 양육비를 받아내려는 심산이다 라고 주변에 말하고 다닌다. 지선과 한매는 동일선상에 있는 피해자다. 지선의 가해자는 도와달라는 말을 곡해해서 듣는 경찰, 변호사(지선의 변호사), 의사(남편) 등 남자들이고, 한매의 가해자는 한매의 도와달리는 말을 모른 척 했던 우리들이다.



탄탄한 짜임새와 고심한 흔적이 역력한 구성에 몇가지 흠은 보였다. 영화적인 요소에 우연은 필연이 된다고 하지만 병원에서 정신없는 와중에 우연히 길을 걷다 자장가 소리를 듣고 지선이 병실을 찾아가는 장면이나 현익이라는 존재는 돈 되면 뭐든 하는 브로커라는 말이 무색하게 사랑이면 뭐든 하는 브로커로 변질되어 있었다. 또 정에 너무 약했다. 애원하는 지선에게 현익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모든 것을 순순히 말해준다. 하나 더 아쉬운 건 결말에서 나온 수중씬이다. 재인을 담요로 은유적으로 표현해 한매와 함께 가게 하려는 감독의 의도는 알겠으나 지선이 한매를 따라 뛰었을 때 그 높은 배 위에서 전문 수영인도 아닌 지선이 마찰력도 무시하고 아무렇지 않게 수영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의문이 든다. 이렇게 몇가지 아쉬운 점이 남지만, 이 영화는 충분히 누군가에게 추천할 만한 영화임에는 틀림이 없다.




 5점 만점: 4.0 





반응형